아동 수당과 부모 급여란?
아동 수당은 2018년 9월부터 시행된 제도로 아동이 태어난 월부터 만 8세가 되기 직전까지 소득과 관계없이 아동 한 명당 매월 10만원씩 지급되는 복지 제도입니다.
부모 급여는 2023년부터 신설된 아동수당과 별도로 만 0세에게 월 70만원, 만 1세에게 35만원씩 2년간 지급되는 복지 제도입니다.
아동 수당 재테크 방법
아동 수당 재테크는 매월 일정 금액을 주식이나 펀드 등에 투자하는 방식으로 적립식 투자를 많이 하는 편입니다.
금융권에서는 아동 수당이나 부모 급여에 우대금리를 주는 상품을 출시하였습니다.
대표적으로 ‘하나 아이 키움 적금’, ‘IBK 부모 급여 우대 적금’은 2%, NH 아동 수당 우대적금’은 1.5%의 우대금리를 추가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단, 월 불입 한도가 10~50만원 수준이기 때문에 다른 재테크 방법을 병행해야 합니다.
아동 수당 재테크와 증여세 절감 방법
아동 수당으로 목돈을 만들 경우 아동의 계좌로 수당을 받으면 증여세 고민은 하지 않아도 됩니다. 아동 수당과 부모 급여에 부모가 자비를 추가하여 적립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는데 최근에 유행하는 절세 재테크 방법이 있습니다.
현재 미성년 자녀에게는 10년에 2천만원, 20세 이상 자녀에게는 10년에 5천만원까지 증여세가 면제되고 있습니다.
이를 이용하여 자녀가 태어난 직후 2천만원을 증여하고 10년 후 11세에 2천만원, 21세에 5천만원, 31세에 5천만원을 증여하면 세금 없이 1억4천만원을 결혼쯤에 물려줄 수 있게 됩니다.
이런 방식으로 증여하고 자녀 명의 계좌로 매수한 주식의 시세 차익과 배당에는 증여세가 안 붙게 됩니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품권, 숙박쿠폰 등 추석 할인 프로그램 (0) | 2023.09.07 |
---|---|
실생활에 꼭 알아야 하는 23년 세법 개정 내용 알아보기 (0) | 2023.07.28 |
전세금 돌려받기 위해 임차인이 꼭 해야하는 단계별 방법 (0) | 2023.07.19 |
주택연금 가입 기준 완화 (0) | 2023.07.14 |
반지하 거주자 주거이전 지원 간단 정리 (0) | 2023.07.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