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학

마르크스 주의

by ravic 2023. 3. 31.
반응형

마르크스주의는 사회변혁이론 중 하나로 19세기 중반 카 마르크스와 프리드리히 엥겔스가 발전시킨 사회, 경제, 정치 이론입니다.

그것은 부르주아지(지배계급)와 프롤레타리아트(노동계급) 사이의 계급투쟁에 초점을 맞추는 유물론적 철학으로 마르크스주의는 자본주의 체제를 분석하고 비판하여 궁극적으로 계급 없는 사회주의 사회로 변모시키려 합니다.

계급투쟁

마르크스주의는 몇 가지 핵심 사상을 기반으로 합니다. 첫 번째는 역사가 계급투쟁의 산물이라는 점입니다. 마르크스에 따르면 인류의 역사는 지배적인 생산양식에 따라 여러 시기로 나눌 수 있는데, 시대마다 생산수단을 장악하고 종속계급의 노동을 착취하는 지배계급이 등장했고, 이들 지배계급은 결국 혁명 투쟁에서 종속계급에 의해 타도되었다고 합니다.

마르크스주의는 또한 인간 사회를 형성하는 데 있어 경제적, 물질적 조건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마르크스는 생산 수단과 생산 관계를 포함한 사회의 경제적 기반의 하부구조가 사회적, 정치적 상부 구조를 결정한다고 믿었습니다. 즉, 경제 시스템은 사회의 문화, 정치 및 이데올로기를 형성합니다.

노동가치론

마르크스주의의 또 다른 핵심 사상은 노동가치론입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재화나 서비스의 가치는 그것을 생산하는 데 들어간 노동의 양에 의해 결정됩니다. 마르크스는 자본주의가 노동 착취에 기초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자본가는 노동 가치보다 적은 금액을 지불함으로써 노동자로부터 잉여 가치를 추출하고, 이 잉여 가치는 자본가를 위한 이윤 창출에 사용됩니다.

마르크스주의는 또한 자본주의하에서 노동의 소외를 비판합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노동자는 자신이 생산하는 제품과 생산 과정 자체로부터 분리됩니다. 이러한 소외감은 자기 일에 대한 소외감과 삶의 성취감 부족으로 이어집니다.

사회주의

마르크스주의는 자본주의의 대안으로 사회주의 체제를 제안합니다. 사회주의 사회에서 생산수단은 개인 자본가가 아니라 노동자 자신이 소유하고 통제한다고 합니다. 이것은 자본가에 의한 노동 착취와 잉여 가치 추출을 제거할 것입니다.

마르크스주의는 또한 혁명적 변화를 달성하는 데 있어서 계급의식과 계급투쟁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마르크스는 노동계급이 지배계급을 전복시키기 위해서는 자신의 계급적 이익을 인식하고 집단의식을 발전시켜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것은 혁명적 투쟁에서 노동계급을 조직하고 지도할 지식인과 활동가 집단인 혁명적 전위의 발전을 요구할 것이라고 합니다.

마르크스주의는 처음엔 사회주의라고 불렸지만 점차 수정자본주의와의 차이점을 강조하면서 자신만의 독자적인 노선을 구축하게 되었습니다. 초기에는 경제학에만 국한되어있던 마르크스주의가 점점 철학, 역사학, 문학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면서 지금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마르크스주의의 변화와 특징, 비판

마르크스주의는 전 세계의 다양한 사회 및 정치 운동뿐만 아니라 사회학, 경제학, 정치학과 같은 학문 분야에도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마르크스주의 사상은 사회주의 및 공산당, 노동조합 및 혁명 운동에 의해 채택되었습니다.

마르크스주의는 크게 두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첫 번째는 프롤레타리아트(노동자계급) 중심이라는 점이고, 두 번째는 과학적 방법론을 중시한다는 점입니다. 이를 통해서 기존의 관념들을 비판하고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였습니다.

그러나 마르크스주의는 경제적 결정론, 다른 형태의 억압을 희생하면서 계급 투쟁에 초점을 맞추는 것, 권위주의 정권과의 역사적 연관성 때문에 많은 사람으로부터 비판을 받아왔습니다. 비판들은 또한 사회주의 정책을 실천에 옮기는 것이 어렵다는 점과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혁명적 변화를 달성하는 것이 어렵다는 점을 지적했습니다.

요약하면 마르크스주의는 지배 부르주아지와 노동계급 프롤레타리아 사이의 계급투쟁을 강조하는 사회, 경제, 정치 이론입니다. 그것은 자본주의 체제를 비판하고 생산 수단의 공동 소유와 통제에 기초한 사회주의적 대안을 제안합니다. 마르크스주의는 사회 및 정치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지만 결정론과 권위주의 정권과의 연관성 때문에 비판받기도 했습니다.

마르크스

카 마르크스(1818~1883)는 독일의 철학자, 경제학자, 정치 이론가로 공산주의, 사회주의, 경제학에 대한 영향력 있는 ‘자본론’을 남겼습니다.

자본주의, 계급투쟁, 노동자 착취에 관한 마르크스의 이론과 사상은 전 세계 사회주의 및 공산주의 운동의 발전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엥겔스와 공동 집필한 그의 ‘공산당 선언’은 자본주의 사회를 전복시키는 수단으로 사회주의와 공산주의의 원칙을 제시했습니다.

엥겔스

프리드리히 엥겔스(1820~1895) 살았던 독일의 철학자, 경제학자, 사회 이론가로 마르크스와 협력하여 ‘공산당 선언을 공동 집필하였습니다.

엥겔스는 독일에서 태어났지만 대부분을 영국에서 보냈으며 그곳에서 사업가로 일하고 사회주의 운동에 참여했습니다. 특히 사회 및 경제 발전의 역사에 관심이 있었고 이 주제에 대해 많은 글을 썼는데 가장 유명한 작품인 ‘영국 노동계급의 상황’은 19세기 중반 영국의 산업화와 도시화에 대한 비판적 분석이었습니다. 그는 노동계급의 열악한 생활과 노동조건이 자본주의 체제와 노동력 착취의 직접적인 결과라고 주장했다.

레닌

블라디미르 레닌(1870년~1924)은 러시아의 혁명가이자 정치 지도자이자 마르크스주의 이론가였습니다. 그는 소련의 초대 지도자였으며 1917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정부 수반을 역임했습니다.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글에 큰 영향을 받았고 나중에 볼셰비키를 이끌고 10월 혁명을 일으켜 임시정부를 전복시키고 러시아에 소비에트 권력을 세웠습니다.

레닌은 다작의 작가이자 이론가였으며 ‘국가와 혁명’, ‘제국주의, 자본주의의 최고 단계’ 등의 저서는 세계의 마르크스주의자와 사회주의자들이 계속 연구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